수능 국어 소신발언
게시글 주소: https://ui.orbi.kr/00071857504
2409부터 쭉 눈알굴리기, 선지말장난이 변별의 중심이었던게 팩트임
문학 개념이니 감상연습이니 국어의 본질이 뭐니 헛짓거리할 시간에 그냥 눈알 빠르게 굴리기, 선지말장난(동일한 의미의 다른단어로 치환한 선지/선후나 인과바꾼 선지 등등) 패턴 분석하는 연습이나 하셈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392까진 안 가겠지 ㅋㅋㅋ
-
중국집은 최근에 가서 거기 말고
-
이젠 조건 걍 다 주고 야! 구해봐 다줬잖아 이러는 식
-
확실히 더 편한가요?
-
어떤 시험이든 실모든 뭐든간에 딱 1컷 나옴 뭔가 쉬운시험지다 싶으면 앞에 2,3점...
-
진동이라니 좀 야하네요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발상이 아닌 교과 개념 기초한 풀이
-
캬 이걸 불러주시네
-
난이도 상관없이 80점대에서 와리치는 성향이라 항상 더프나 이감보면 목표보다 성적이...
-
혁신신약학과?? 약사 면허 못받는다는데 이거 신종 사기야??
-
존나미끄럽네 그래도 패딩때문에 살았다 멍드는 선에서 끝날듯
-
1월달에 31일동안 하루평균 4시간 정도 공부했고요 2월달엔 하루 8~10시간 정도...
-
이거도 당시에 욕 먹었지만 그 와중에도 참신한 회차가 많이 있었죠 예를들어 1709...
-
님들 수학 기출 몇번이 무슨문제인지 다 알아요?? 17
170921 220628 241120 이런 식으로 던지면 다 이해함?
-
당시 기준 국어 적당히 난이도 있게 잘 냄 수(가) 준킬러 강화의 시발점 고인물기준...
-
1. 변증법은 정립 - 반정립 - 종합의 구조 2. 예술 - 종교 - 철학도 이를...
-
이젠 정착해야겠지...
-
24수능 백분위 80 (뭐틀렸는지 기억 안나지만 11-15에서 몇개 틀리고...
-
서바 수학을 좋아함 15
그야내가잘푸니까
-
2506에서 예방주사를 쎄게 맞아서 그런가 별로 말이 안나옴
-
재수할 예정입니다. 양지 메가 기숙 블루, 대치시대인재+학사, 시대인재기숙 중에서...
-
대깨설인데 메쟈의가 가고싶으면...
-
국어 어떤 시험이든 80점대진동 수학 어떤 시험이든 84-88진동
-
1년 다니고 군대 vs 대학만 붙어놓고 바로 군휴학하고 군대 뭐가 정배임?
-
영원토록 그딴 거는 없대도~
-
은근 많음 그런사람들이 불국어나오면 최대 수혜자임
-
물론 풀면서는 이게 이렇게 쉽다고…. ㅈ도ㅑㅆ다… 9모급인데….. 싶다가 컷...
-
ㅜ
-
국어 조금만 힘 빼고 수학 준킬러 쎈 메타로 바꾼거 진짜 좋은 것 같은데 수학은...
-
597.2인데 ㅠㅠ 생존가능할까요?
-
제앞에3명만극락으로보내버리면 저도동국대생이에요!
-
학교 라인은 같은데 과때무네ㅜㅜ 하나는 인하대 자연과학계열이고 하나는 아주대 e비즈...
-
레어를 삿는데 3
왜 구매내역에 업져ㅠ 어케사는건데여ㅠ
-
불국어 원하는 애들은 얼마나 잘하는거임 부럽구만
-
가 24명모집-예비6 나 27명모집-예비26 다 28명모집-예비18 인데 3광탈은 안되겠죠?
-
그때 국어 3개 수학 2개 물화 합쳐서 1개 틀리고 개잘본줄알았는데 등급컷보니까...
-
노베 중하위권도 시대인재 기숙 들어갈 수 있을까요? 2
지방대 공대 다니다가 군대 제대 후 자퇴해서 노베에다가 최근 5개년 평가원 수능...
-
17,18 얘네가 은근 정직함 지문 스케일은 길고 복잡하게보여도 선지가 착했음 근데...
-
그런거 모르겠다 잘하는 놈은 계속 잘하는 것 같다 과탐빼고
-
23수능 화작 24수능 언매 25수능 화작
-
저만 보기 아까워서 공유함
-
국잘수못이었어서
-
수능 99인데 아직도 이해가 안됨 그냥 문제가 좀 약간 이상한데… 물론 내가 이상할...
-
231115처럼 내는게 좋지않을까..
-
ㅠㅠ
-
실수만 유발해서 억지로 난이도 올리는 씹 적폐유형 241122처럼 내면 손 놓고...
ㄹㅇㅋㅋ
이미 문학같은거도 보기 말장난으로 된지 오래된듯
ㄹㅇ
보기가 해석 근거가 아니라 의미없는 쓰레기를 줌 요즘은
맞는거같긴함
문제는 중하위는 아직도 문장읽고 이핼못함
아니그냥 뭔말인질 모름 그러니 지문이해 쇼 계속되는거
ㄹㅇㅋㅋ
걍 글 깊은이해 아니고 내용 "인지"만 해도 되는데 자꾸 깊은 이해가 안돼서 못푸는것처럼 세뇌당함
현대시 표면에 드러난 사실관계 뜯어서 세줄요약 만들어주고 문제 선지 탁탁 털어주는 시범수업하면
노베는 이상하다고 수업터트림ㅋㅋ
이해시키고 감상시키고 감탄시킨다음에 선지 뜯으면 감탄하는게 현실
그래서 초반엔 감상과 이해로 하고 한달지나선 바로 사실과 판단 이쪽으로 돌림
ㄹㅇㅋㅋ
저도 느끼는건데 항상 국어는 "본질"이 있다느니 하는 약팔이하는게 과외수요가 좋더라구요
물론 저는 첫시간에 "수능 국어의 변화" 라면서 저건 2406까지고 2409부턴 그딴거 아니라고 못 박고 시작합니다
이해가 아니라 인지라는 말 너무 정확하네요
혹시 이건 어떻게 연습하는건가요?
기출같은경우는 최근거 말고는 말장난이 없어서요
무한 사설양치기
아하!
흠
2025수능 2025 9월도 그렇다 생각하시나용??
25수능 독서, 문학 꼬라지 보세요
잘와닿지는 않네요.. 전 올해 수능 국어가 눈알굴리기라고 느끼진 못했습니다
눈알굴리기 (공통 내용일치, 표현상특징 등 문제)
선지말장난 (<보기>문제가 추론이나 깊이있는 해석이 필요없음 그냥 같은말을 다르게 쓰거나 아예 지문에 언급없어서 답이거나임)
헛짓거리라고 과격하게 말씀하셔서 말씀드린겁니다.
당장 올해 수능 킥킥만 보더라도 치병과 환후는 따로인것을 이 구절에 관한 문제를 이해없이 눈알로 푸는게 가능한거 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정답률이 드러내듯 매우 기본적인 수준의 이해로 가능한, 즉 노베 정도가 아니라면 특별한 방법론 없이도 한두번 읽는것으로 파악할 수 있던 문제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다만 전 한가지 툴을 버리고 한쪽만 보는건 위험하다 생각해 두가지 다 준비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동의합니다
비중은 2409~쪽에 두지만
"기본 수준의 해석/이해" 공부는 해야겠죠 당연히
26수능은 다르게 나올수도 있잖슴
교사가 출제하는 한 안바뀜
교사가 국어출제하지는않음
근데 아직까지는 이분 말씀이 유효함... 입시에 변화를 줄 변수가 없음
애초에 24 25만봐도 국어 차이심한데 ㅋㅋㅋㅋ
24도 선지말장난, 눈알메타지 깊은 이해를 요하는게 없는데요? 선지말장난의 정도의 차이지
혹시 교사들 사이에서 주류 의견의 "올바른 시험"이 뭔지 아시나요?
생각해보니 타임어택에 상위권 변별을 위한 말장난이네
6평 에이어 지문도 그러면 눈알굴리기를 연습해야 풀수있나요?
눈알굴리기가 많이 어려워진 버전인건가
25 6평 에이어 <보기>는 추론을 요구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올해는 그 이외에 깊은 이해 따위가 필요한 지문이 단 하나도 없었습니다. 애초에 2506도 문학은 다 선지말장난 메타, 에이어 앞 두 지문도 눈팅메타였습니다.
두각갤하시는분이시군아
대성갤이죠
이제 국어도 교사경 기출문제집이 나올때가 됐다
엥 없음??
저거 사교육이 파훼해서 난이도에 비해 컷 폭발하기 전까진 계속될듯 단 언제 평가원이 빠꾸할지 모르기 때문에 모평 계속 눈팅하면서 써야하는 방법임
ㅇㅇ 맞긴함
근데 올해안에는 파훼 안될듯
25수능보고 "감상 위주" ㅇㅈㄹ하는 강사들 한트럭
2506은 이해못하면 에이어에서 죽창찔리고 아버지의 땅 29번에서 선지가 명확히 안보이기 때문에 이해위주로 가르쳤다가 피봄
ㅇㅇ 2506 에이어는 좀 예외라고 봅니다
글 내용 처럼 가르치는 강사 분 아시나요??
없습니다
강사가 저렇게 말 하면 굶어뒤지니까
선지말장난(동일한 의미의 다른단어로 치환한 선지/선후나 인과바꾼 선지 등등) 패턴 분석<<이부분은 유대종 인셉션 독해에 나오긴 해요
소신발언 개추 ㅋㅋ
대원준
어느정도의 지문이해는 있어야할텐데 이거의 선은 어떻게 정할수있을까요
딱히 2406 2409 지나고부턴 ㄱㅊ은거 같은디 2509는 좀 별로고
근데 문학이 좀 그럼 어렵게내려다보니 본질이 좀 가려진듯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격하게 공감해요정확히 제가 느낀 바에요
그래서 본문 내용과 그나마 유사한
국어강사 추천좀여 대성에서
정확히 김승리임 문학 눈알굴리기로 푸는 강사
김승리 독서는 눈알굴리기임?
겠냐
ㅇㅈ
그래서 제가 이원준 관련해서 우스갯소리로 하는 말이 22수능이 스키마의 시대였다면 25수능은 3원칙의 시대다..
눈알 굴리기 나 고딩때 국어가 그랬는데 지금 회귀했나 ㅋㅋㅋ
2409요..?
ㄹㅇ ㅇㅈ독해력 싸움이 아님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걍 집중력 테스트 ㅋㅋㅋ내용의 핵심을 잡으면 원활히 풀리는 건 여전하다고 봅니다
따라서 눈알 굴리기 연습은 어느 정도 베이스가 완성된 학생들의 점수 향상 방안이지
처음 공부하는 학생들이나 애매한 성적대에서는 여전히 예전 기출을 보면서 독해 피지컬 자체를 향상시키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해요
ㄹㅇ
올해수능 독서지문 하나도 이해안됬는데 공통 전체에서 1개틀림 체점하고도 왜 1개밖에 안틀렸지?? 이랬음 이해 안해도 눈알굴리기로 잘 풀리더라
동의하지않습니다.
07 08 16번이 뭐 21수능보다 더 눈알굴리기였다고 보지않습니다.
근데 맞말같은게 이번 수능 기술?지문 솔까 이해하기 전에 걍 눈알굴리기로 다 맞음
2211과 2306같은 수준높은 시험지는 다시는 못나올듯
정오답 선지 구성 원리와 패턴을 익히는 것도 중요한데 이거 안하는 학생들이 많더라구요
눈알굴리기로 풀리더라도르로 그 방법론을 고수하면
결국 변증법 에이어 오버슈팅과 같은 문제가 나오면
처참히 썰릴수밖에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요즘 국어문제의 통계상 수치를 보면 눈알굴리기로 풀리는게 많지만 이해위주가 없었냐? 그건 절대 아니라 생각하거든요
문학에 있어서 깊은 이해가 필요하지 않다는 말엔 동의하지만 그렇다고 눈알굴리기 연습만 하라는건 동의하지 않습니다
윾머벨 독해 강의에서 강조하는 것들이네
선지말장난(동일한 의미의 다른단어로 치환한 선지/선후나 인과바꾼 선지 등등) 패턴 분석하는 연습이나 하셈<<<이부분 ㅇㅇ..
독해 연습이 헛짓거리 ㅋㅋ
둘 다 하는게 정상적인 판단이지 눈알굴리기만 하는건 요행을 바라는거죠
https://orbi.kr/00071861935
이거에 대해서 가볍게 글써봄요
말을 강하게 하셔서 의도가 곡해된것도 있으신듯
저도 어느 정도는 동의합니다.
계속 해서 사실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쓰기도 했고
다만 제일 좋은 건 이해를 최대한 하려고 노력하면서 그게 안 될 때 댓글에 쓰신 것처럼 사실관계로 어느 정도 털어내고 가는 게 좋은 거 같아요
하나 다른 건 전 원래도 이해와 감상 쪽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았던 거 같습니다
'인지해서 사실관계로 푼다'는 말에 상당히 공감하는데, 원래부터 그랬다고 생각해서(02 수능 정도 시기 제외)
24 국어 백분위 99 25 백분위 98인데 솔직히 난 동의 못 하겠음. 국어의 본질은 변함없고 눈알 굴리기는 한계가 명확한 방법이라고 생각함. 물론 님이 나보다 국어 더 잘한다고 말하면 할말은 없음
아닙니다~
단순 +,- 구분에서 벗어나 이젠 +내부에서도 질적인 구분을 더 중요시 하게 되는거죠.
이게 말장난이라고 볼 수도 있는데 전 더 세심한 국어적 사고라고 봅니다
걍존나쉬웟는대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