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디플레이터 왜쓰는거임?
게시글 주소: https://ui.orbi.kr/00071800002
명목/실질gdp=물가지수
라는게 이해가 안가는데
명목은 물가상승률을 포함한거고
실질은 물가상승률을 제거한 거니까
근데 예를들어서 실질GDP 가 증가 한다고 하더라고 인구수 자체가 늘어나면은 뭐 만드는 거는 커지는데 사는 사람 숫자도 많아지고 하니까 그래서 물가 자체는 가만히 있는 거다.....
뭔가이해될랑말랑한다으에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 분들 동의하시면 바로 룰렛 굴림
-
화작 기하 사문 생윤인 듯
-
ㅈㄱㄴ
-
치마들추기 8
흐흐
-
24학년도 낮2~1컷정도에서 25학년도 6모48점(17분컷),...
-
이건 ㄹㅇ 먹지마라 ㅅㅂ 팝콘이랑 후추가 따로놂 내 돈주고 샀다는게 안믿겨짐
-
신기하네
-
몇 일간 뜸했던 이유는 3일간 공부시간 다 합쳐도 10시간 못미치는 레전드시간을...
-
ㅇㅇ
-
문과 중 다수인 담뇨단들의 왕. 바로 접니다. 담요단 오브 킹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드디어 화1 선택자수가 늘어나는건가??
-
제자야 반응하라
-
이게 머야
-
화1이 다시 23수능 표점과 만백으로 부활하는 영광의 날이 8
올까요 제발제발 26수능에 한번 보여주자 평가원님들 저렇게 낼수 있잖아 우리한번...
-
화학고정50 8
가보자
-
저격합니다 8
수학에 별 같잖은거 비비지 마십쇼
-
ㅇㅈ 9
168 78은 아니란 말이다 ㅜㅜ
-
문과는 국어만, 이과는 수학만 봐야 타당하지 않음? 8
왜씨발내가국어수학공부를동시에해야하는데.
-
인싸되고싶다 8
막상만나면어버버
-
ㅋㅋㅋㅋㅋㅋㅋㅋ
실질은 가만히 있는데 명목만 커지면 물가가 오르는거고
경제가 성장하는건 분모도 따라서 커지니까 쓰는거죠
근데 실제 경제 현장에서 쓰는진 모름..
거시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지표고, 현장에서는 물가지수가 훨씬 더 많이 쓰여요
인구가 늘어나면 웬만해선 실질gdp도 늘어나죠
안늘어나면 그건 개인들은 더 거지가 된셈이니 물가가 높다고 봐도 되는 그런게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