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학 21번 정확하게 풀기
게시글 주소: https://ui.orbi.kr/00070139414
1) 풀이.
f(x)는 삼차함수이므로 중간값정리에 의해 실근을 하나 이상 가진다.
f가 alpha≠-1인 실근 alpha를 하나 이상 가진다고 하자.
그러면 조건에 의해 f(alpha)=0 -> f(2alpha+1)=0 -> f(4alpha+3)=0 ->...임을 알 수 있고,
alpha≠-1일 때 alpha -> 2alpha+1로 가는 함수는 증가 또는 감소하므로 이 값들 (alpha, 2alpha+1, 4alpha+3,...)은 모두 다르다.
따라서 f는 근을 무한히 가지고 0다항식이 아니기 때문에 Lagrange's theorem에 의해 모순이다.
따라서 f는 -1만을 근으로 가진다.
2) Lagrange's theorem.
0다항식이 아닌 복소계수 n차 다항식 f(x)의 복소수근은 n개 이하이다.
pf) n에 대한 귀납법.
n=0이면 f(x)가 0다항식이 아니므로 근은 0개.
n-1일 때 가정하고,
f(x)가 n차 다항식이라 하자.
만약 f(x)=0의 근이 없으면 증명은 끝난다. 근이 있다면 그 근을 alpha라 하자.
나머지 정리에 의해 f(x)=(x-alpha)Q(x)+R인 복소계수 다항식 Q(x)와 R이 존재하고,
Q는 n-1차 다항식이고, f(alpha)=0이므로 R=0이다.
f(x)=0 <=> (x-alpha)Q(x)=0 <=> x-alpha=0 or Q(x)=0이므로,
귀납가정에 의해 f의 근은 1+(n-1)=n개 이하이다.
3) Lagrange's theorem과 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
위의 정리보다 좀 더 강한 명제인 0다항식이 아닌 복소계수 n차 다항식 f(x)의 복소수근은 정확히 n개이다.
라는 사실은 거의 모두가 알고있는 명제이지만 고등학교 2학년 수준의 개념만으로도 쉽게 증명할 수 있는 Lagrange's theorem에 비해 이 명제의 증명은 매우 어렵다.
이 명제를 대수학의 기본 정리라고 알고있는 경우도 많은데 이 명제는 그저 대수학의 기본 정리의 따름정리일 뿐이고, 대수학의 기본 정리의 진짜 의미는 다음과 같다. (대수학의 기본 정리가 성립하면 자명히 성립)
대수학의 기본 정리 (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
상수가 아닌 복소계수 다항식은 항상 복소근을 하나 이상 가진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왜 저는 남들 다하는 연애 못하는데스ㅠㅠㅠ
-
아 ㄹㅇ 솔탈하고싶다 12
좋아하는 여자애 다른남자한테 간듯 맴찢,,,, 역시 오르비언은 연애를 할 수 없는...
-
댓글로 달아주세요.
-
오르비언들 요새 외롭다외롭다 하는데 대학가서 실수하지나 않을까 하는 생각에...
-
ㄹㅇ명곡 1
https://youtu.be/4efvTWFR084
-
가상현실 기술은 많이 발달되었다. 기계 하나만 머리에 뒤집어 쓰면 눈 앞에 새로운...
-
1. 유명인의 아들. 아빠 존잘 엄마 존잘. 현실의 서울대 대학원 총장보다 몇배는...
-
고백이란 3
마치 골 넣은 뒤 하는 세레모니와 같은 것 같아요 골은 이미 들어갔으니......
-
솔로열차 17
애초부터 자리는 정해져있어. 나는 애초부터 커플좌석. 당신네들은 솔로칸! 당신들의...
-
페이스북 비공개 그룹 53
페이스북에서 학교 친구들 담벼락에 이야기하다가 나 모태솔로라고 얘기하니깐 바로...
ㅇㅅㅇ? 이런문제였나
나 이거 어케 풀었지
이게왜07이지
라그랑주 승수법의 그 라그랑주인가 보네
근데 07이라니... 신기방기
킥킥 라그랑주가 한게 많긴하죠
내가 생각한것과 비슷한 논리군.
전 공통에서 이 문제가 젤 좋은 문제 같음
근데 수학적 의의가 있지 수능에서 좋은 문제는 아닌것 같아요
아 그런가요? 수능은 어렵군요
비슷한 맥락인지 모르겠지만 삼도극이나 등비급수 같은것도 빠진게 직관이나 근사로 풀리는 건데 이 문제도 좀 그런거 같아서요
아 무슨 의민 줄 알 것 같네요. 수험생들 입장에서 정확한 논리보다는 직관을 통해 풀리는 문제라는거죠?
그쵸
문제 자체 논리가 좋은 건 맞음
다시보니 상수항도 제대로 안봤네 나
사실 문제 상황 보면 삼차함수고 실수근이니까 서로 다른 실근을 4개 가진다 가정하면 평균값정리로 실근 3개 가지는 이차함수가 존재하고, 그럼 실근 2개 가지는 일차함수가 존재해서 모순이죠
결국엔 같은 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