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엽특강]55~59
게시글 주소: https://ui.orbi.kr/00032807005
55. 미세 중력 렌즈를 이용한 외계행성 탐사는 공전궤도 장반경이 큰 행성을 탐사하는 데 유리하다
56. 외계행성의 공전 주기가 짧을수록 중심별 별빛 스펙트럼의 파장 변화 주기가 짧다
57. 식 현상과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외계행성 탐색은 궤도면이 살짝 기울어진 정도까지는 가능하다
->무조건 시선방향에 평행할 필요는 없지만 가급적 평행해야죠
58. 중성자별의 밀도가 크면 중성자별이 추가적으로 붕괴되어 블랙홀이 생길 수 있다
59. 초거성은 청색 초거성도 존재할 수 있다
->H-R도를 보면 초거성 단계인데 왼쪽 위에 있는 녀석을 찾으실 수 있는데, 그게 청색 초거성이예요. 질량이 정말 큰 별은 청색 초거성으로 진화해 격한 폭발을 일으킵니다.
<참고자료>
55. 2019 수특 p.202
56. 2019 수특 p.206-13-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6,9,수능과는 '결'이 다릅니다.(아마 다른 과목 쌤들도 그리 말씀하시지 않을지)...
-
원점수 3월 국82 수96 영90 한국사39 법44 사문50 4월 국98 수100...
-
3평 국어82 수학86(중복마킹 네개..원래96) 영어90 한국사39 법정44...
-
★[수학가,나 공통] 중복조합이 오답률이 왜이렇게 높아??★+가,나30번 224
여러분 안녕하세요 황금손입니다 어제 4평 잘 보셨나요 ㅎㅎ황금손 오답률 살펴보다가...
55번은 왜일까요ㅠㅜㅠ?
행성과 뒤에 별이 일직선에 위치할때 미세중력렌즈 현상이 발생하는데 장반경이 길어 공전주기가 길어야 해당위치에 오래머무니 발견확률은 업이죠!
![](https://s3.orbi.kr/data/emoticons/rabong/020.png)
지구짱혹시 나중에 지엽 특강 모아주실 수 있으신가요?
리겔이 청색초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