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dge님 이 게시물 봐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ui.orbi.kr/0002934178
Hedge:
절대구조를 먼저보지 마시고
논술실록을 먼저보세요
1) 문제를 고민해서 열심히 푼다.
2) 논술실록을 보고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를 개별문제에 대해서 일반화시킨다.
3) 절대구조를 보고 유형에 따른 문제의 해법을 일반화시킨다. (개별문제 여러개->특정 유형)
1,2,3의 순서대로 공부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절대구조만을 보고도 이해가 되고, 충분히 독학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해도 무방하긴 합니다만
이는 일반적인 경우는 아닐 겁니다. (매우 이해력이 뛰어난 극소수일겁니다)
------------------------------
2
A
Hedge:
글을 쓰고나서 보세요
문제를 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해되기도 어렵고
이해를 한다한들 금방 잊어버립니다.
문제를 풀고나서 한참을 헤맨후에 절대구조를 보아야 기억에도 오래남습니다.
==========================================
그럼 진도표 대로 하지 말고 다르게 하라는 말이신가요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세요..
페로즈님과 Hedge님의 커리를 종합해 봤을때 이런 식의 커리가 나올꺼 같네요.
1.절대구조 맨앞 첫 단원을 읽고 연고대 논술에 대한 개념을 확립한다.
2.절대구조 각 유형별 챕터의 제일 맨 앞장. 유형에 대한 개괄적 소개만 읽고 ,
뒷장을 넘기지 않는다(구체적인 구조,답안은 보지않는다.)
3.제1주차 과제인 간섭문제를 고심하여 푼 뒤 논술실록을 통해서 일반화시킨다.
이 과정을 여러개의 기출문제에 적용시킨 후 귀납적으로 일반화를 하면서 문항들이 축적되면 그 후
4.
절대 구조 교재를 보고 개별문항들에서 익혔던 것을 총제적으로 일반화하여
창발적인 효과를 거둔다.
뭐 이런식의 로드맵을 제시하시는 건가요???
그런데 이건 참 좋은데 논술에 시간투자를 좀 해야 달성할 수 있는 커리큘럼이군요.
--------
매주 논술실록 진도표 대로 나가는 것이 위의 방법론 보다 시간이 덜 걸릴 것 같구요(과정을 1바퀴 돌리는데 걸리는 시간)
대신 효과는 위에 것이 더 높을 수 있겠네요(시간은 2~3배가 들겠지만요)
--------
근데 제가 쓴건 순전히 제 상상이니... 로드맵을 종합해서 제시해 주세요 ㄷㄷ;
ps. 두분께 항상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건 근데 걍 레전드라 못품
-
추워
-
적당히 3-4지망 딱 붙어서 다시 할 생각도 업는데 수능 수학 망한게 계속...
-
F T 5
아일랜드
-
대성마이맥 0
지금 42만원인데 이제 와서 사는거 좀 오반가? 대부분 메가쌤들 보고있는데 1,2개만 깔짝깔짝하려구
-
내일 뭐먹지
-
걍 하지마셈
-
내가 수2를 모다는 것도 잇긴한데,그래프 그려오는 것도 그렇고 이 개형 찍는...
-
나도 자러감 5
바이
-
여긴 진짜 전장 각인데
-
자샘 그냥
-
부럽다인생
-
정시파이터 0
22222나 23222 사탐확통은 어느정도 라인까지 가나요? 공대는 빡셀까요?
-
왜냐면 일단 매력적인 본인은 인팁임
-
ㅇㅇ?
-
자러갈래요 0
같이 잘 사람 따라오셈뇨
-
자유전공은 뭘까 1
커리큘럼도 알아봐도 안나오고 참 난해한 1년일듯
-
씨발놈들아
-
앰비티아이별로임 2
지가 계획적이다 체크 -> j 막상 과제 하나도 안하고 밀림 뭐임..?
-
FT 4
아일랜드ㅋ
-
새벽에 버스탄다는데.. 다치지만 말고 무사히 전역했으면
-
MBTI. 2
I : 집이 조음 E : 밖이 조음심지어 둘이 집과 밖의 기준도 다름S :...
-
ft구분법 3
- 위치는 같은데 휘어진게 위면 f 아래면 t임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 jpg 0
https://sbz.kr/zdk1D
-
오르비 가입하고 첫 글입니다. 궁금한게 너무나도 많은 현역입니다. 답변 좀 해주시면...
-
28까지 시드 못 모음 예과 때 뺑이쳐서 시드 모아서 본과 때 장투하는게 그나마...
-
2년 반동안 핸드폰,컴퓨터 있는 감옥에 홀로 갇히면 0
원래 일반인도 히키코모리 되서 나오나요 (단 폰으로 카톡,디엠은 금지) 전 중3땐...
-
사실 원래는 1
아프면 할꺼 제대로 못하니까 낫는데 전념하라고 함
-
인팁임
-
피곤할땐 공감이 안됨 머리 ㅈㄴ 굴려가면서 억지 공감하는거라 몇번 하고나면 피로함...
-
수수료가더나가
-
? 9
F는 머라함
-
왜 삼?
-
나 반반인데
-
코인 계좌 만들자마자 바로 10배 숏 땡겨야겠다
-
판사 되기 ㄷ 빅펌 입사 잘 몰라서 궁금해요...
-
진짜 아직도 기억에 남는 이유가 있었네 개감동이다 진짜
-
제가 수능에서 수학을 밀려써서 3등급이 나왔는데 시대인재를 붙었거든요... 6/9모...
-
ㅜㅜ
-
어디까지올라가는거에요???
-
한번 더 해서 미련을 털어낼 수 있다면 남는 장사일까요 8
딱히 메디컬을 지망해본 적 없는 입장에서 삼반수를 택함으로써 잃은 것도 은근 있다는...
-
지구는 확정이고 메디컬 목표 부울경 지역인재 가능 작수 언미영물지 12142 생명...
-
우울해서 빵 샀어 << 상대방이 우울한건 알빠노임 13
뭔가 의무적으로 대화를 이어나가긴 해야함 어 근데 빵으로 말이 끝났네? 무슨...
-
고민상담소 7
ㄱㄱ혓.
-
3시임
-
꿈에는 아직도 중2때 친구들만 나온다 중3 초반에도 코로나여서
-
한석원선생님 생각의 질서를 다끝내고 알파테크닉 하고있는데 너무어려운것같네요 생각의...
-
계정 안다고 말해주면 부담스럽겠죠..
-
우울해서 에서 이미 뭐 왜 무슨 일이야 이래서 뒷 말은 안 들림
-
뭐야 쿠쿠리 0
왜살아잇녀 다시 들어가
저는 논술에 시간을 남들보다 많이 투자하는데요(주20. ..) 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면 Hedge 님의 커리에 관심이 가는군요. 덧글부탁드릴꼐요~
어...제가 뭘 좀 몰라서 이런소리 하는걸수도 있는데 헷지님이 제시하신 커리는 수학을 잘할려면 문제를 똥줄빠지게 열심히 풀어보고 아 모르겠다 그래서 개념서를 보라는 말씀과 같은 거 아닌가요? 그러면 기억에 남기는
더 잘 남겠죠. 근데 효율성이나 하는게 전혀 없는거 아닌가요?? 답안은 보지않아도 개념은 보고 넘어가서 그 후에 글을 써보고 예시 답안을 보고 자세한 흐름을 수정해가는게 더 맞지 않나요?? 저도 논술실록 구매자로써 궁금하네요ㅜㅜ 어떻게 해야 더 효율적인 공부가 될까요??
1. 문제를 풀면서 엄청나게 고생해본다.
2. 논술실록을 보고 답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합격자들은 어떻게 썼는지를 본다.
이와 같은 과정을 어느 정도 반복한 후
3. 절대구조를 본다.
각 문제마다 답은 알고 있는 상황이었으나, 문제들과 답의 공통점
그리고 그 이유등을 확인하고 일반화시켜서 체화시킨다.
이기를 권하구요
말씀하신대로
1. 절대구조 앞쪽을 간략하게 본다.
(답안 작성 요령, 서술방법등을 체크)
2. 문제를 열심히 풀고 멘붕당해본다.
3. 논술실록을 통해서 정답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이렇게 3~4문제를 2번과 3번 과정을 반복한 후
절대구조를 본다.
4. 절대구조를 통해 앞서 풀어보았던, 3~4문제들의 일반화될 수 있는 공통점이
절대구조에 어떻게 드러났는지를 확인하면서, 답의 근거와 추출기준, 그리고 어떻게 하면
새로운 문제에서도 기계적으로 정답을 뽑아낼 수 있을지를 고민하면서, 본인의 것으로 체화한다.
도 나쁘지 않습니다.
제가 이야기 하는 것의 전자와 후자의 차이는 후자는 절대구조를 일부 먼저 본 후,
기본적인 베이스를 깐 상태에서 전자의 내용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사실 큰 차이는 없다고 보구요
저는 솔직히 말해서
여러분들이 멘붕을 좀 당해보고, 논술실록에서 나오는 답을 확인하고
그 답에 놀라보고
여러 문제를 그렇게 반복한 후 절대구조를 보고나서, 문제들이 비록 달라도
답의 근거와 추출원리는 같았다는 점을 보면서 또 한번 놀라기를 바라거든요
그래야 기억에 오래남고 자신의 방법론이 되서 끝까지 몸에 남을거구요
오랫동안 그리고, 많이 멘붕할 수록
기억에 분명 더 오래 남을거고 확실하게 학습될 것입니다.
이 책을 쓸 때도
처음엔,
1. 무엇이 답일지 한참을 고민했었구요
2. 합격자 답안을 보고나서 해당 문제의 답이 무엇인지 확인하였구요
3. 문제들을 모아서 본 후, 문제를 관통하는 출제원리와 답의 근거와 기준을 정리한 것 입니다.
논술실록과 절대구조라는 책이 이렇게 해서 나온 겁니다.
여러분들도 이렇게 따라가는 것이 정석이 아닐까 합니다.
비록 논술에 시간은 많이 들어가겠지만요
저도 처음에 연대문제들을 보고
비교를 할 때
2:1로 나눈 후, 1:1로 다시 나눈다라는 비교기준을 확립하는데에
엄청난 시간이 걸렸었습니다.....제 머리털이 다 뽑혀나가는줄 알았어요.
물론, 한 두문제야 어쩌다 설명될 수 있겠지만
연세대나 고려대나, 일반화되서 모든 문제에 설명될 수 있는 이론이 있어야 했거든요
그 상황에서 페로즈님이 합격자 답안을 모아서 들고 왔었고, 이를 바탕으로 일일이 검증을 해서 완성이 된 것이구요.
그리고 올해는 페로즈님이 더 세분화해서 일일이 쪼개서 분류하고 나누어서 부교재가 아닌, 교재로 절대구조가 나오게 된 것입니다.
네에.. 저는
1. 절대구조 앞쪽을 간략하게 본다.
(답안 작성 요령, 서술방법등을 체크)
류로 진행해야겠어요.
그것도 괜찮으시다니..
사실 전자가 더 효과적이겠지만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봤을때
제 근성과 이런걸 고려하여 그냥 방법론 훝고 쓰는 걸로 ^^;
덧글 감사합니다 ^^